본문 바로가기
농업 분야/종자 기사

2018년 3회차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 (정답포함)

by 라인I 2020. 10. 20.
반응형

1. 저장종자가 발아력을 잃게 되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종자 단백질의 변성

   효소의 활성 증진

   호흡에 의한 종자 저장물질 소모

   저장 기간 중 저장고 온도와 습도의 상승

2. 웅성붙임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웅성붙임성은 유전자적 웅성붙이성, 세포질적 웅성붙임성, 세포질ㆍ유전자적 웅성붙이성으로 구분한다.

   임성회복유전자에는 배우체형과 포자체형이 있다.

   세포질적 웅성붙임성은 불임요인이 세포질에 있기 때문에 자방친이 불임이면 화분친의 유전자 구성에 관계없이 불임이다.

   대체로 세포질적 웅성붙임성이 유전자적 웅성붙임성보다 잘 생긴다.

3. 다음 중 종자의 수명에서 장명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클로버 강낭콩

   해바라기 베고니아

4. 벼 돌연변이 육종에서 종자에 돌연변이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이 처리 당대를 무엇이라 하는가?

   P0 M1

   Q2 G3

5. 다음 채소 중 자가수정율이 가장 높은 것은?

   토마토 오이

   호박 배추

6. 일대잡종 종자 채종 시 생력화 수단으로 활용되는 채종체계가 아닌 것은?

   자가불화합성 이용 웅성불임 현상 이용

   화학적 제웅법 잡종강세 현상 이용

7. 종자의 발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수정 후 세포분열과 신장을 위한 양분과 수분의 흡수로 종자는 무거워진다.

   수정 직후의 건물종은 과피가 가장 무겁다.

   배유 발달의 초기에 높은 수준에 있던 당함량은 전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히 감소한다.

   DNARNA는 배유의 초기발생과정 중 세포가 분열할 때에는 감소한다.

8. 직접 발아시험을 하지 않고 배의 환원력으로 종자 발아력을 검사하는 방법은?

   X선 검사법 전기전도도 검사법

   테트라졸리움 검사법 수분함량 측정법

9. 타식성 작물의 채종포에 있어서 포장검사 시 반드시 조사해야 할 사항은?

   총 건물생산량 종실의 지방 함량

   타 품종과의 격리거리 개화기와 성숙기

10. 종자생산에서 수확 적기의 판단 기준으로 옳은 것은?

    식물체 외양과 종자의 수분 함량에 따라 결정한다.

    초기에 개화 성숙한 종자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한 때가 수확 적기이다.

    대화기에 따라 종자활력을 검정하여 성숙한 종자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11. 채종재배 시 채종포로서 적당하지 못한 곳은?

    등숙기에 강우량이 많고 습도가 높은 지역

    토양이 비옥하고 배수가 양호하며 보수력이 좋은 토양

    겨울 기온이 온화하고 등숙기에 기온의 교차가 큰 곳

    교잡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품종과 격리된 지역

12. 종자의 수분평형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떤 일정한 상대습도 하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방습(防濕) 시의 평형곡선은 흡습 시의 평형곡선보다 약간 높다.

    지방의 함량이 많은 종자는 단백질이나 전분의 함량이 많은 종자보다 수분평형곡선이 높다.

    옥수수와 같은 화곡류의 종자는 동일한 상대습도 하에서 유료작물보다 수분함량이 높아 질 수 있다.

13. 품종의 유전적 순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인공수분

    격리재배

    개화 전의 이형주 제거

    염수선에 의한 종자의 정선

14. 무의 채종재배를 위한 포장의 격리거리는 얼마인가?

    100m 이상 250m 이상

    500m 이상 1000m 이상

15. 종자의 온탕처리로 방제되는 병해가 아닌 것은?

    벼의 선충심고병

    맥류의 깜부기병

    고구마의 검은무늬병

배나무의 붉은별무늬병

16. 발아검사 시 재시험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경실종자가 많아 휴면으로 여겨질 때

    독물질이나 진균, 세균의 번식으로 시험결과에 신빙성이 없을때

    발아율이 낮을 때

    반복간의 차이가 규정된 최대 허용오차 범위를 초과할 때

17. 양파의 채종과 관련된 특성으로 틀린 것은?

    녹식물 저온 감응성 식물

    화분생명이 수분에 극히 약함

    모구(母球) 이용 채종

    영양번식이 거의 안 됨

18. 봉지 씌우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교배 육종 원원종 채종

    여교배 육종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F1채종

19. 다음 작물 중 뇌수분의 실용성이 가장 높은 것은?

    호박 가지

    토마토 오이

20. 다음 중 과실이 바로 종자로 취급되고 있는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오이, 고추 고추, 옥수수

    옥수수, , 오이

 

2과목 : 식물육종학

21. 두 품종이 가지고 있는 우량한 특성을 1개체 속에 새로이 조합시키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육종법은?

    교잡육종법 돌연변이 육종법

    분리육종법 배수성육종법

22. 자연교잡에 의한 배추과(십자화과) 채소품종의 퇴화를 막기 위하여 채종재배 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망실재배, 수경재배

    지베렐린 처리, 외딴섬재배

    외딴섬재배, 망실재배

수경재배, 지베렐린 처리

23. 동질배수체를 육종에 이용할 때 가장 불리한 점은?

    임성 내병성

    생육상태 종자의 크기

24.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F1종자 채종을 하는 작물로만 나열한 것은?

    시금치, 호박, 완두 배추, 상추, 오이

    양파, 고추, 당근 토마토, 강낭콩, 참외

25. 벼와 같은 자식성 식물에서의 잡종강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자식성 식물이므로 잡종 강세가 일어나지 않는다.

    교배조합에 따라 잡종강세가 일어날 수 있다.

    모든 교배조합에서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난다.

    자식성 식물에서는 잡종강세글 조사하지 않는다.

26. 우리나라 봄에 배추와 무를 재배할 수 있게 된 가장 주요한 육종형질은 무엇인가?

    F1의 잡종강세 만추대성

    내병성 다수성

27. 다음 주 타식성 작물의 특성으로만 나열된 것은?

    완전화(完全花), 이형예현상

    이형예현상, 자웅이주

    자웅이주, 폐화수분

    폐화수분, 완전화(完全花)

28. 육종단계에서 분자표지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은?

    여교배육종 시 세대 단축

    종자순도 검정

    생산성 검정

유전자원 및 품종의 분류

29. 염색체 배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콜히친 처리 NAA 처리

    저온 처리 고온 처리

30. 대부분의 형질이 우량한 장려품종에 내병성을 도입하고자 할 때 가장 효과적인 육종법은?

    분리육종법 계통육종법

    집단육종법 여교잡육종법

31. 다음 중 타가수정 작물에 적용되기도 하나 자가수정 작물의 품종특성유지에 특히 잘 적용 되는 육종법은?

    계통분리법 순계도태법

    영양계분리법 순계분리법

32. 유전적으로 이형접합인 F1 품종의 균등성과 영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양친 품종의 균등성과 영속성을 유지시킴

    F2F1과 똑같은 특성을 가진 개체를 선발함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돌연변이를 유발함

    염색체를 배가 시킴

33. 잡종강세를 이용한 F1품종들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증수효과가 크다.

    품질이 균일하다.

    내병충성이 양친보다 강하다.

    종자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34. 생산력 검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검정포장은 토양의 균일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한다.

    계측, 계량을 잘못하면 포장시험에 따르는 오차가 커진다.

    시험구의 크기가 클수록 시험구당 수량 변동이 커진다.

    시험구의 반복회수의 증가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35. 우수형질을 가진 아조변이가 나타났을 때 신품종으로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열된 것은?

    양파, 배추,

    토마토, 가지 사과, 감귤

36. 1염색체식물(monosomics)을 옳게 나타낸 것은?

    2n+1 2n-1

    n 2n+2

37. 자연일장이 13시간 이하로 되는 늦여름 야간 자정부터 1시까지 1시간 동안 충분한 광선을 식물체에 일정 기간 동안 조명해 주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은?

    코스모스 같은 단일성 식물의 개화가 현저히 촉진되었다.

    가을 배추가 꽃을 피웠다.

    가을 국화의 꽃봉오리가 제대로 생기지 않았다.

    조생종 벼가 늦게 여물었다.

38. 온대지방이 원산인 단일성 작물(, 콩 등)을 열대지방에 재배했을 때, 온대지방에 재배했을 때의 개화기와 비교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일반적으로 고도와는 관계없이 일찍 개화한다.

    일반적으로 고도와는 관계없이 늦게 개화한다.

    열대 지방의 저지애에서는 일찍 개화하고 고지대에서는 늦게 개화한다.

    일반적인 경향이 없다.

39. 작물 육종에서 순계분리법이 가장 효과적인 경우는?

    자식성인 수집 재래종의 개량

    타가수정으로 근교약세인 수집 재래종의 개량

    타가수정의 영양번식 작물 개량

    인공교배에 의한 품종 개량

40. 다음 중 트리티케일(Triticale)의 기원은?

    × 호밀 × 보리

    호밀 × 보리 보리 × 귀리

 

3과목 : 재배원론

41. 다음 중 감온형에 해당하는 것은?

    그루콩 그루조

    가을메밀 올콩

42. 다음 중 C3식물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옥수수, 수수 기장, 사탕수수

    명아주, 진주조 보리,

43. 벼와 같이 식물체가 포기를 형성하는 작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포복형작물 주형작물

    내냉성작물 내습성작물

44. 다음 중 작물의 내염성 정도가 가장 강한 것은?

    가지 사과

    감자 양배추

45. 다음 중 작물의 적산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메밀

    담배

46.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에틸렌 지베렐린

    ABA 시토키닌

47. ( )에 알맞은 내용은?

   

    15C 60CO

    17C 40K

48. 다음 중 작물의 기원지가 중국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감자, 땅콩, 담배 , , 메밀

    토마토, 고추, 수수 수박, 참외, 호밀

49. 다음 중 굴광현상이 가장 유효한 것은?

    440~480mm 490~520mm

    560~630mm 650~690mm

50.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최저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귀리 옥수수

    호밀 담배

51. 다음 중 열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암모니아의 축적이 많아진다.

    출분이 침전된다.

    유기물의 소모가 적어져 당분이 증가한다.

    증산이 과다해진다.

5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아황산가스 불화수소가스

    염소계가스 오존가스

53. 다음 중 천연 식물생장조절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제아틴 에세폰

    IPA IAA

54. 대기의 조성에서 질소 가스는 약 몇 %인가?

    21 79

    0.03 50

55. 벼의 침수피해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 작다, : 작아진다.

    : 작다, : 커진다.

    : 크다, : 커진다.

    : 크다, : 작아진다.

56. 다음 중 단일식물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샐비어, 양귀비, 시금치

    양파, 상추 아마, 감자

57. 다음 중 자연교잡률이 가장 낮은 것은?

    아마

    보리 수수

58. 다음 중 노후답의 재배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조식재배를 한다.

    저항성 품종을 선택한다.

    무황산근 비료를 시용한다.

    덧거름 중점의 시비를 한다.

59. 수박 접목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흡비력이 강해진다. 과습에 잘 견딘다.

    품질이 우수해진다. 흰가루병에 강해진다.

60. 다음 중 상대습도가 70%일 때 쌀의 안전저장 온도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5 10

    15 20

 

4과목 : 식물보호학

61. 대부분의 나비목에 해당하는 것은 부속지가 몸에 붙어 있는 번데기의 형태는?

    위용 피용

    저작형 나용 비저작형 나용

62.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디캄바는 접촉형으로 비선택성이다.

    글루포시네이드암모늄은 광엽 잡초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다.

    플루아지호프피부틸은 화본과 잡초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다.

    글리포세이트는 이행형으로 콩과 잡초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다.

63. 주로 과실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복숭아순나방 복숭아명나방

    복숭아심식나방 복숭아유리나방

64. 무성포자에 해당하는 것은?

    자낭포자 분생포자

    담자포자 접합포자

65. 항상제 계통의 살균제에 해당하는 것은?

    만코제브 수화제 카벤다짐 수화제

    데부코나졸 유제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66. 감자의 싹에 나타난 병징으로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황산구리법 형광항체법

    슬라이드법 괴경지표법

67. 약충 성충으로 변화하는 곤충 중에 약충과 성충의 모양이 완전히 다르고, 주로 잠자리목과 하루살이목에서 볼 수 있는 변태의 형태는?

    반변태 과변태

    무변태 완전변태

68. A 유제(50%)2000배로 희석하여 10a160L를 살포할 때 A 유제의 소요량(mL)?

    40 60

    80 100

69. 월년생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명아주 속속이풀

    밭뚝외풀 바람하는지기

70. 농약의 살포 방법 중 미스트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살포 시간 및 인력 비용 등을 절감한다.

    살포액의 농도를 낮게 하고 많은 양을 살포한다.

    살포액의 미립화로 목표물에 균일하게 부착시킨다.

    분사 형식은 노즐에 압축공기를 같이 주입하는 유기분사 방식이다.

71. 벼 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식엽성 해충이다. 유충만 가해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1년에 3회 발생한다.

72. 다년생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쇠뜨기 환삼덩굴

    중대가리풀 가을강아지풀

73. 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또는 손실이 아닌 것은?

    작물의 품질 저하 작물의 수확량 감소

    해충의 서식처 제공 토양의 물리성 악화

74. 비기생성 선충과 비교할 때 기생성 선충만 가지고 있는 것은?

    근육 신경

    구침 소화기관

75. 잡초의 밀도가 증가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는데,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수준까지의 밀도는?

    잡초밀도 잡초경제한계밀도

    잡초허용한계밀도 작물수량감소밀도

76. 병해충 발생 예찰을 위한 조사방법 중 정점조사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방제 범위 결정 방제 적기 결정

    방제 여부 결정 연차간 발생장소 비교

77. 훈증제는 주로 해충의 어느 부분을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서 해충을 죽게 하는가?

     피부

    날개 기문

78. 벼에 사과 탄저병균을 접종하여도 같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벼의 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는?

    면역성 내병성

    확대저항성 감염저항성

79. 밀 줄기녹병균의 제1차 전염원이 되는 포자는?

    소생자 겨울포자

    여름포자 녹병정자

80. 시설원예의 대표적인 해충으로 성충의 몸이 전체 흰색을 나타내며, 침 모양의 주중이를 이용하여 기주를 흡즙하여 가해하는 해충은?

    무잎벌 온실가루이

    고자리파리 복숭아혹진딧물

 

5과목 : 종자관련법규

81. 식물신품종 보호법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3개월 6개월

    1 2

82. 식물신품종 보호법상 심판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3 5

    7 9

83. 수입적응성시험의 심사기준에서 재배시험지역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 시설 내 재배시험인 경우는 제외한다.)

   

    4 3

    2 1

84. 수입적응성시험의 대상작물 및 실시기관에 대한 내용이다.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에서 실시하는 대상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당귀 표고

    작약 황기

85. 규격묘의 규격기준에서 배의 묘목직경(mm)?

    6 이상 8 이상

    10 이상 12 이상

86. 종자검사요령상 발아검정에서 사용하는 내용이다. 다음에 해당하는 용어는?

   

    1차 감염 2차 감염

    3차 감염 4차 감염

87. 국가보증이나 자체보증을 받은 종자를 생산하려는 자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또는 종자관리사로부터 채종 단계별 몇 회 시앗 포장(圃場)검사를 받아야 하는가?

    5 3

    2 1

88.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최근 2년간 이중취업을 2회 이상 한 경우 행정처분 기준은?

    등록취소 업무정지 1

    업무정지 6개월 업무정지 3개월

89. 종자검사요령상 순도분석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석과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은?

    주공부분의 조그마한 돌기

    외종피가 과피와 합쳐진 벼과 식물의 나출과

    빽빽히 군집한 화서 또는 근대 속에서는 화서의 일부

    단단한 내과피와 다육질의 외층을 가진 비열개성의 단립종자를 가진 과실

90. 식물신품종 보호법상 우선권의 주장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1 2

    3 4

91. 옥수수 교잡종 포장검사 시 포장격리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 건물 또는 산림 등의 보호물이 있을 때를 제외한다.)

   

    500m 400m

    300m 200m

92. 종자관리요강상 유체의 포장검사 시 특정병에 해당하는 것은?

    백수병 균핵병

    근부병 공동병

93. 종자업 또는 육묘업 등록을 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하지 않거나 정당한 사유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 1회 위반시 행정처분기준은?

    영업정지 7 영업정지 15

    영업정지 30 등록취소

94. 강낭콩 탄저병 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3 5

    7 9

95. 종자관리요령상 고추 제출시료의 시료의 최소중량?

    50g 100g

    150g 200g

96. 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은 등재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몇 년까지로 하는가?

    3 5

    10 15

97. 종자검사요령상 수분의 측정에서 저온항온건조기법을 사용하게 되는 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당근, 메론 피마자, 참깨

    알팔파, 오이 상추, 시금치

98. 보증종자를 판매하거나 보급하려는 자는 종자의 보증과 관련된 검사서류를 작성일부터 몇 년 동안 보관하여야 하는가? (, 묘목에 관련된 서류는 제외한다.)

    1 2

    3 4

99. 다음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5년을 기준으로 1 3년을 기준으로 1

    2년을 기준으로 1 매년

100. 과수와 임목의 경우 품종보호권의 존속기간은 품종보호권이 설정등록 된 날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

    15 20

    25 30

 

반응형

댓글